Pub / Sub 패턴
- 메시징 모델 중의 하나로 발생(publish)과 구독(Subscribe) 로 개념화한 형태
- 발행자와 구독자는 서로에 대한 정보 없이 특정 주제(토픽 or 채널)를 매개로 송수신
graph LR
subgraph Messaging Middleware
Topic
end
Publisher --메시지 발행--> Topic --메시지 구독--> Subscriber
메시지 미들웨어 사용의 장점
- 비동기: 통신의 비동기 처리
- 낮은 결합도: 송신자와 수신자가 직접 서로 의존하지 않고 공통 미들웨어에 의존
- 탄력성: 구성원들간에 느슨한 연결로 인해 일부 장애가 생겨도 영향이 최소화 됨
메지싱 미들웨어 제품들: kafka, RabbitMQ, ActiveMQ 등등
Redis Pub/Sub 특징
- 메시지가 큐에 저장되지 않음
- Kafka의 컨슈머 그룹같은 분산처리 개념이 없음
- 메시지 발생시 push 방식으로 subscriber들에게 정송
- subscriber가 늘어날수록 성능이 저하
graph LR
subgraph Messaging Middleware
Topic
end
Publisher --메시지 발행--> Topic --메시지 구독모든 subscriber에제 전송후 메세지 삭제--> Subscriber
Redis Pub/Sub 사용예
- 실시간으로 빠르게 전송되어야 하는 메시지
- 메시지 유실을 감내할 수 있는 케이스
- 최대 1회 전송(at-most-once)패턴이 적합한 경우
- Subscriber들이 다양한 채널을 유동적으로 바꾸면서 한시적으로 구독하는 경우
'대용량 처리 이해 > Re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Cache Layer (0) | 2023.02.19 |
---|---|
Redis Session Clustering (0) | 2023.02.18 |
Redis Data Type (0) | 2023.02.14 |
Redis (Remote Dictionary Server)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