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4

JWT 내 멋대로 정리해보기

오랜만에 하나 정리해본다. 우선 JWT를 들어봤고 다들 사용해 봤겠지만 왜 사용하는지 또는 흐름이 어떤지도 모르고 사용하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 싶어서 정리해본다. 일딴 jwt 찾아보면 생김새는 AAAAA.BBBBB.CCCCC 이렇게 . 을 기준으로 3개로 나눠져있는데 순서대로 헤더.페이로드.서명인데 주호 헤어에는 토큰의 타입와 알고리즘이, 페이로드에는 토큰에 담을 정보, 서명에는 헤더와 페이로드의 인코딩값을 합친값과 비밀키로 조합해서 만들어진 값이라고 보면된다. 대충 이런느낌으로 그려봤다.. jwt 파서 사이트를 이용해보면 알겠지만 헤더와 페이로드는 단순히 base64방식으로 암호화하기때문에 누구라도 내용을 확인할수있다. 그래서 난 처음 jwt를 사용했을때 아니 왜? 누구나 확인하고 알수있는거면 왜? ..

ETC 2024.03.18

도커 - 아파치, 톰캣 설치

아파치 설치 1. 도커 아파치 이미지 받기 $ docker pull httpd:latest​ 2. 컨테이너 생성 $ docker run -d --name ws -p 80:80 httpd 컨테이너 이름을 ws로 잡았고, 호스트 80포트, 컨테이너 80 포트로 설정했다. 3. 제대로 올라온걸 확인할수있다. 톰캣 설치 1. 같은 방식으로 톰켓 설치 $ docker pull tomcat 8 2. 톰캣 컨테이너 생성 $ docker run -d --name tomcat1 -p 8080:8080 tomcat8 컨테이너 이름은 tomcat1로 했고 호스트 포트 8080, 컨테이너 포트 8080 으로 잡았다. 3. 확인 브라우저에 localhost:8080 으로 접속했으나 404가 뜸... 들어가서 원인파악 $ doc..

ETC/Docker 2021.09.23

한글도메인 퓨니코드

아파치 톰캣 연동(mod_jk 사용했음)할때 한글도메인이 제대로 안먹은적이있다. 이럴땐 그 한글도메인을 ping 찍어서 확인하면 퓨티코드를 확인할수있고, 그 퓨니코드로 연동시 사용하면 된다. CMD에서 처보면 C:\Users\Developer>ping 한글도메인.com Ping abc-123defgert.com [123.123.123.123]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123.123.123.12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3ms TTL=53 123.123.123.12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53 123.123.123.12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3ms TTL=53 123.123.123.12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3ms TTL=53 123.123.123.123에 대한 Pin..

ETC 2021.09.14

싱글 스레드, 멀티 스레드, 동기, 비동기

싱글 스레드, 멀티 스레드 스레드는 작업흐름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큰 공장이 하나 있고 그 공장엔 컨테이너 벨트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 컨테이너 벨트는 재료를 올리면 조립 후 완성품을 내놓는다. 싱글 스레드는 이 공장에 컨테이너 벨트가 하나인 것이다. 상품 A 부품, 상품 B 부품, 상품 C 부품, 상품 D 부품을 공장이 작업한다고 하면 하나의 컨테이너 벨트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상품 A의 조립이 끝나면 상품 B를 조립하고, 상품 B의 조립이 끝나면 상품 C의 조립을 한다. 반면 멀티 스레드는 컨테이너 벨트가 여러 개가 있어서 일처리를 나눠서 하는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스는 공장으로 스레드는 컨테이너 벨트로 비유했다. 동기(Synchronous), 비동기(Asynchronous) 동기는 위에서 싱글..

ETC 2021.09.07